본문 바로가기
문화

[연극사 시리즈 1]연극이라는 것의 기원은 무엇일까?

디아블로 2021. 3. 10.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며 어떠한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갈까 싶었다. 남들보다 아는 것이 많은 것도 아니고 전문기술이 있는 것도 아니고 글쓰기 재주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수 많은 고민 끝에. 십수년 전 대학시절 읽었던 연극사에 대해 이야기 해 보려 한다. 그리고 기회(끈기가 제일 중요하겠지만)가 된다면 시리즈식으로 글을 작성 해 보려 한다. 아! 하지만 이 블로그는 연극에 대한 이야기 만을 다룰 블로그가 아니니 오해하지 마시길...

 

우리의 일상에 스며있는 '연극'

 

창대하기만 한 연극사를 꺼내기에 앞서 연극이 과연 우리의 일상에 얼마나 관련이 있는지 살펴보자. 우리들의 행동에는 알게 모르게 행해 온 많은 것들이 연극과 연계되어 있다. 그것은 모방이나 상황극, 강연, 다양한 파티와 의식, 전통적인 의례 등이 있다.

모방, 역할극, 이야기...

아이들은 어른이 위층으로 올라가거나 문을 여는 것을 보고 흉내를 내면서 같은 행동을 연습하면서 배운다.  역할극은 남녀노소 공통적인 현상으로 연극적 요소도 가지고 있다.  사람들은 아버지, 어머니, 할아버지, 언니, 오빠와 같은 가족의 역할을 당연하게 여긴다.  그들은 또한 의사, 변호사, 영업사원, 사회복지사와 같은 사회적 역할을 당연하게 여긴다.  위에서 언급한 모방과 역할극 모두 연극적 요소를 포함하고 있다.  

 

경험 많은 이야기꾼은 긴장을 조성할 수 있든, 웃음이나 눈물을 유발시키거나 자신만의 문화의 전통을 보존할 수 있다.  그들은 종종 그들이 말하는 이야기에 등장하는 인물들의 목소리를 선택하고, 노인, 젊은 전사, 순진한 하녀, 또는 유령이나 다른 초자연적인 존재들의 성격을 입력한다.  바로 그 순간, 이야기꾼들은 우리가 무대에서 만나는 배우들과 다를 바 없는 배우가 된다.  

 

그래서 어른들의 어투와 몸짓을 흉내내는 아이들, 법정에 출두해 관객들 앞에서 어떤 식으로든 미리 짜여진 역할을 하는 판사들, 그리고 모닥불 주위에 둘러앉아 있는 사람들을 이야기와 연관짓는 부족의 어르신들, 이 모든 사람들이 그렇다.  어떤 의미에서는 연기라는 형식을 통해 자신의 역할을 수행하는 것이다.  

 

연회

 

노래, 춤, 팬토마임, 곤봉 저글링, 마술, 공중제비 그리고 심지어 이야기까지 하는 대중연회. 이것은 연극적 요소가 풍부한 것으로 알려진 일종의 집단행동이다.(우리나라로 치자면 탈춤과 비슷하지 않을까?) 거의 모든 문화에서 어떤 춤사위나 음악, 또는 다른 묘기를 부리는 모든 연령대의 개인이나 그룹은 다른 사람들을 즐겁게 하기에 충분했다.  

 

연극조직을 이용할 수 없었던 시기나 장소에서는 공공연회가 연극행위의 주된 대체수단이었다.  서기 5세기경 로마 제국 말기부터 중세 교회에 의해 다시 연극이 부활한 약 1000년 간의 유럽 역사가 이를 보여주는 좋은 예이다. 이 기간 동안 적어도 기록상으로는, 정기적인 연극 공연은 없었다.  그러나 음유시인, 곤봉저글링, 댄서, 그리고 마임 연주자들은 유럽 전역에서 연극의 이름을 가져왔다.  이들은 부유한 귀족의 저택에서 대형 연회나 그와 같은 특별한 날, 시장이나 종교시설 등 사람들이 많이 모이는 공공장소에서 연회를 자주 열어왔다.  

 

의식과 전통의례

 

의식과 전통의례는 어느 사회에서나 발견되며 매우 중요한 연극적 요소를 포함한다.  의식은 공식적인 종교적 또는 사회적 행사이며, 보통 성직자나 가부장 같은 지도자급 인사가 개최한다.  졸업식, 취임식.  그리고 결혼식은 이것에 포함된다. 의식은 추수감사절이나 크리스마스 만찬 등 가족 행사부터 로마 가톨릭 미사나 유대교 욤 킵루 의식 등 종교 행사까지 미리 정해진 절차에 따라 진행되는 행사다.  의식과 전통의례는 일반적으로 미리 정해진 순서에 따라 거행되기 때문에 이 둘의 사이에는 밀접한 관계가 있다.  

 

위에서 언급한 의식과 전통의례는 서양인들에게 매우 친숙하지만, 서양 문명의 외부에서도 예시를 찾아볼 수 있으며, 연극적인 요소도 여기에 포함된다.  예를 들어, 특이한 의상과 가면은 중앙아프리카와 서아프리카 전역에서 다양한 의식에 사용된다.  코트디부아르 지역에 사는 구로인들이 치르는 의식에서 동물 형상을 나타내기 위해 한 무용수는 영양 뿔이 섞인 커다란 대형 마스크와 추상적인 인간의 얼굴, 그리고 커다란 이빨이 달린 부리 모양을 착용한다. 다른 무용수들은 각자 그들의 역에 적합한 의상과 마스크를 착용한다.  

 

아프리카에서 행해지는 의식에 사용되는 가면과 의상은 세계 다른 곳에서 볼 수 있는 것보다 훨씬 더 미학적이지만, 의식의 집행자의 행위에는 연극적인 요소도 포함되어 있다.  보통, 참가자들은 새, 동물 또는 영혼과 같은 사람이나 동물의 역할을 수행한다.  이러한 의식에 참여하는 대부분의 사람들은 한 연주자가 연기하는 동물이나 영혼은 실제로 연주자가 살고 있다고 믿으며, 공연 중에 연주자는 그들의 역할에 동화된다.  

 

또한 의식의 주요 역할을 맡은 현 수집가들은 물론, 주도적인 연주자와 조연주자들은 사전에 정해진 방식으로 자신의 임무를 정확하게 이행해야 한다.  따라서 대본에 표시된 대로 대사를 외우고 전달하며 특정 동작을 익혀 극적으로 표현하는 배우들의 행동이 크게 닮았다.  또한, 의식과 전통의례는 일반적으로 이미 정해진 일련의 사건들을 따른다.

 

관객 참여극

 

모방, 역할극, 이야기, 공공 연회, 의식과 전통의례 외에도 연극적 요소들은 많은 현대의 교육적 또는 치료적 활동에서 발견된다.  보통 이러한 활동들은 참가자들의 참여에 중점을 둔다. 학교에서 연극 실습을 하거나 즉흥연극을 활용한 치료료 등을 예로 들 수 있다.(왜 갑자기 예전 무한도전에서 멤버들의 정신감정을 했던 편이 떠 오르는지...ㅋ) 아무튼 두 경우 모두 특정 상황에서 감정적이고 역동적인 긴장감을 해소하기 위한 수단으로 참가자들이 '역할 연기'를 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목표다.  관객과 관객 사이의 벽을 허물며 이른바 '관객 참여' 극장이 자발적으로 시도되고 있다. 1960년대에는 다수의 전위적인 연극 단체들이 객석을 없애고 극중 참여를 유도하였는데, 즉 공연이 시작되기 전에는 공연자들이 주도하여 관객을 자리로 안내하거나 배우들과 직접 대화를 나누도록 유도하였다. 보통 이런 경우라면 관객은 배우들에 의해 무대로 참여하도록 초대받거나 객석의 통로 쪽 좌석에 앉아 극에 참여하는 역할을 맡는다.

 

(adsbygoogle = window.adsbygoogle || []).push({});

 

to be 컨t뉴...

아 일단 오늘은 여기까지...

 

대학시절에 책을 읽으면서도 참 어려웠는데 다시 책을 들춰보며 공부하듯 정리하다보니 너무 힘들다. 세상에. 시리즈 물?? 가능하면 내일 다시 돌아와서 마저 이야기 할게요. 바이바이.

 

 

2021.03.11 - [문화] - [연극사 시리즈2] 연극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