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느덧 4번째 시간이다. 지난 시간부터 그리스 연극의 태동을 설명하였고 오늘은 그릿의 연극과종교에 관해 설명하려 한다. 렛츠 기릿.
2021.03.10 - [문화] - [연극사 시리즈 1]연극이라는 것의 기원은 무엇일까?
[연극사 시리즈 1]연극이라는 것의 기원은 무엇일까?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며 어떠한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갈까 싶었다. 남들보다 아는 것이 많은 것도 아니고 전문기술이 있는 것도 아니고 글쓰기 재주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수 많은 고민 끝에.
titan202103-1.tistory.com
그리스의 연극과 종교
기원전 5세기의 그리스 연극과 그리스 종교를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왜냐하면 그리스 연극은 그리스의 종교와 매우 밀접한 관계를 가지고 있기 때문이다. 수세기에 걸쳐 그리스인들은 신을 숭배하는 종교를 발전시켰다. 그리고 그 중에서 제우스는 그의 아내 헤라와 함께 신들의 신이었다.
그리스인들은 신들이 모두 똑같이 전능하다고 생각하지는 않았지만, 그들은 인간을 보호하고 미래를 예측하는 힘을 가지고 있다고 믿었다. 그리고 그리스의 크고 작은 도시 국가에서는 매년 그들을 보호하고 지켜주는 신들을 숭배하는 축제가 열렸다.
연극은 특정한 종교 축제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다양한 연극 행사들은 동시에 종교적인 의식과 오락이었다. 이러한 종교와의 연관성 때문에, 모든 사회 계층의 사람들이 연극 공연에 참여했다. 기원전 5세기 중엽에 아테네의 위대한 지도자 페리클레스가 연극을 볼 여유가 없는 가난한 사람들을 위해 기원전 450년에 제신 기금을 제창하였다는 일화는 상류층의 사람들 뿐 아니라 모든 계층의 사람들이 참여한 것으로 보여진다.
디오니소스 축제
고대 그리스 사회에서 "종교-연극적" 행사의 중요성으로 인해 오늘날 우리 사회보다 연극이 보다 더 중요한 역할을 하게 된다. 연극 축제 기간 동안, 모든 상업 활동이 중단되고, 전쟁이 중단되었으며, 정치적 사건들은 뒷전으로 밀려났다. 마치 요즘의 국제적인 스포츠 행사나 대통령 선거 등 큰 이슈가 있을 때 사람들이 모두 TV 앞으로 몰려드는 것과 비교할 수 있을 것 같다.
그리고 그 축제 중에서도 어느 한 축제가 아테네의 연극에 아주 중요한 영향을 주게 된다. 바로 디오니소스 축제이다. 이 축제는 아테네에서 그야말로 가장 중요한 행사였다. 축제는 겨울동안 폐쇄된 아테네 인근 항구가 다시 문을 열고 방문객들이 아테네로 쏟아져 들어오기 시작하는 3월 말경, 꽃과 나무에 싹이 돋아나는 시기에 시작된다.
기원전 534년 디오니소스 축제에 비극이 공식적으로 추가되었고 기원전 486년 희극과 풍자극 같은 형식들이 추가되었다.
디오니소스 축제는 약7~8일 동안 열렸다. 축제가 시작되기 전 모든 주요 극장 관계자들이 퍼레이드를 하고 프로아곤에 나타난다. 프로아곤은 다가올 연극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등 홍보 목적으로 제작된 일종의 예고편 공연이다. 퍼레이드와 디오니소스의 경배의식이 하루나 이틀에 걸쳐 진행되며, 나머지 5일은 디튀람브와 연극에 배정된다.
시간이 흐름에 따라 5일간 공연되는 연극의 종류도 더욱 다양해졌고 더욱 다양한 장르의 성격이 나타났다. 또한 축제가 끝난 지 2, 3일 만에 시상식이 열렸고 행사 진행상황은 행정관들의 평가를 받아 축제 기간 중 부적절한 행동을 하거나 불법을 저지른 사람들은 재판을 받고 처벌을 받았다.
극장에서 좋은 자리를 차지하기 위해 폭력을 행사한다거나 술에취해 다른사람들에게 피해를 입히는 등의 행위를 한 사람들은 적발되어 엄중한 처벌을 받았다고 한다. 이로 미루어 보아 당시의 관객들의 태도나 극장의 분위기가 어떠하였는지 짐작이 가는 대목이다.
그리스 사람들은 또한 경연대회도 무척 좋아했다고 한다. 예를 들어 올림픽도 그 기원을 추적해 보면 고전시대부터 시작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디오니소스 페스티벌 이후에는 최고의 비극 작가와 최고의 코미디 작가들을 위한 시상식이 열렸으며, 기원전 449년부터 최우수 비극 연기상이 수여된 것으로 알려졌다.
연극은 종교 문화 행사였기 때문에 정부가 연극의 공연 기획을 담당했다. 아콘이라고 불리는 담당 행정관은 다음 축제 11개월 전에 연극 작품을 선별하였으며 아콘은 각가의 작가들에게 오늘날의 제작자에 해당되는 코레구스를 배정해 주었고 부유층이었던 당시의 코레구스들은 오늘날의 제작자처럼 재정적 자원을 확보하고 지원하였다.
국가는 극작가와 배우들에게 연극 공간, 시상, 월급을 제공한다. 이 극작가가 만약 인색한 코레구스를 만났다면 대회에서 우승의 꿈도 꾸지 못했겠지만, 대부분의 경우 코레구스는 자신의 극작가가 우승할 수 있도록 최선을 다했다. 본인이 후원한 작품이 우승하면 그를 기념하기 위해 자비로 기념비를 세운 코레구스도 있었다.
여자들도 연극 축제에 참가했을까?
기원전 5세기 아테네에서 열린 연극제에 여성들도 당연히 참여한 것으로 보이지만, 그 진위에 대해서는 여전히 이견이 있다. 여성들은 황금시대의 그리스 민주주의에 부분적으로만 관여했고 비극이든 희극이든 모든 곳에서 여자들은 연기에 참여하지 않았다고 하는 사실을 근거로 이 의문은 연극 역사가들에 의해 오랫동안 논의되고 있다.
고대 그리스 연극 역사가인 피터 아노트는 그의 저서에서 "여성의 극장 출입이 허용되는지 여부가 타당한 것처럼 보이기도 하지만 이는 여전히 불확실하다.' 라고 했다. 또 다른 학자들은 과거 그리스 시대에 언급되었던 여러가지 정황들을 근거로 드는데 어느 코레구스가 남성관객과 여성관객이 극장에 가기위해 서로 차려입었다는 말을 했다던가, 어느 임산부가 연극의 잔혹한 장면을 보고 유산을 했다는 등의 사례등을 든다.
이로 미루어 보아 적어도 여성들의 극장 출입은 가능했던 것으로 보이며 아마도 여성 관객들은 극장의 한 구석에서 따로 준비된 구역에 자리를 마련해 앉았을 것이라고 판단된다. 또한 그 지역 외의 다른 지역 출신 사람들도 마찬가지로 따로 지정된 구역에 자리를 잡았다고 한다.
극장에 여성이 들어오느냐 아니냐에 대한 질문은 당시 여성이 남성과 동등한 사회적 지위를 갖지 못했다는 사실을 일깨워준다.
투 B 컨T뉴
어느덧 4번째 글을 마무리했다. 사실 글을 쓰기 위해 책을 들여다 보고 글을 쓰면서도 들여다 보고 쓴 것을 다시 읽어도 쉬운 내용들은 딱히 없다. 하핫. 다만 불필요하게 주저리주저리 설명되어있는 것들을 최대한 덜어내고 핵심적인 요소들만 나열하느라 수고한 나에게 박수. 그리고 여기까지 읽었다면 더 대단한 당신에게 박수.
다음에는 그리스의 공연제작과 관련한 이야기를 다룰지...말지...?
2021.03.12 - [문화] - [연극사 시리즈3]그리스 연극의 발자취
[연극사 시리즈3]그리스 연극의 발자취
지난 시간까지 연극의 생성배경과 연극의 구성요소들에 대해 설명하였다. 오늘은 본격적으로 연극이라는 장르가 자리잡기 시작한 것으로 보여지는 그리스 연극에 대해 설명해보려 한다.(벌써
titan202103-1.tistory.com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사 시리즈6] 그리스 연극 공연과 제작(2) (0) | 2021.03.15 |
---|---|
[연극사 시리즈5] 그리스 연극 공연과 제작 (0) | 2021.03.14 |
[연극사 시리즈3]그리스 연극의 발자취 (0) | 2021.03.12 |
[연극사 시리즈2] 연극을 구성하는 요소들은 무엇인가? (0) | 2021.03.11 |
[연극사 시리즈 1]연극이라는 것의 기원은 무엇일까? (0) | 2021.03.10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