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문화

[연극사 시리즈 25] 명나라의 연극

디아블로 2021. 4. 3.

명나라의 연극

지난 시간 몽골인들이 지배하던 시절인 중국의 원나라 시대의 연극에 대해 알아봤다. 오늘은 이어서 명나라 시대의 연극에 대해 알아보겠다.

[연극사 시리즈 24] 원나라 연극

 

[연극사 시리즈 24] 원나라 연극

원나라의 연극 지난 시간에 중국 연극사의 초반 부분에 대해 설명하였다. 오늘은 이어서 중국 원나라의 연극에 대해 설명하겠다. [연극사 시리즈 23] 후기 인도의 연극과 중국 연극 [연극사 시리

titan202103-1.tistory.com


원나라 시기의 후기에 그들의 연극 공연은 매우 수준 높은 수준으로 올라섰고 많은 사람들에 의해 매우 각광받는 예술로서 자리잡았다. 그러나 원나라의 시기가 지나고 다시 중국의 한족에 의한 명나라가 들어서자 기존 중국인들 문화 특유의 관료주의적 분위기가 드리웠다.

 

관료주의적 사회분위기가 형성된 후 많은 극작가들은 여전히 연극을 집필해 나갔지만 과거와 달리 그 작품들은 일부 상류층을 위한 이야기들로 국한되기 시작했다.

 

이러한 배경들로 인해서 명나라 시기의 연극은 점점 인위적인 스토리와 장면들로 변질되어갔고 과거 연극 발전의 지지기반이었던 대중들과의 유대감을 잃어가며 점차 외면받기 시작했다.

 

원나라 시기에는 연극의 직접적인 소비자였던 대중들에 대한 반응에 상대적으로 민감하게 반응하였으나 명나라 시기의 연극은 문학적 요소를 중시하며 박진감 있는 전개나 장면들을 배재해 나갔다.

 

명나라의 연극들은 원나라 시기의 연극들과 비교하여 극의 구조가 복잡했다. 또한 원나라 시기의 연극들은 각 막 별로 배우 1명이 노래를 불렀던데 반해 명나라 시기의 연극에서는 각 막 별로 여러명의 배우가 노래를 하고 음악적 구성이 화려했다.

 

이 당시의 양시기으로 제작된 연극 중 초기의 유명한 작품 중에는 가오 밍 이라는 작가의 '아쟁가'라는 작품이 있다. 이 작품은 정치적 배경으로 인해 남편으로부처 버림받은 여자가 과연 가문의 충정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의문을 가지는 이야기로 구성되었다.

 

이 작품에는 아름다운 구성과 내용의 시가 등장하고 다양한 개성의 캐릭터들이 등장한다. 이 작품은 처음 제작되어 공연 된 이래 지속적으로 많은 인기들 구가한 작품이였다. 후대에는 1946년 동명의 희가극을 번역되어 미국의 브로드웨이에서 공연되기도 하였다.

 

명나라 이후의 중국 연극

명나라는 중국의 역사에서 여러가지 측면으로 중요성을 가진다. 예술 분야로서도 연극 이외에 아름다운 그림들이나 도자기, 양탄자 등이 이 시기에 많은 발전을 이루었다.

 

또한 당시의 황제들에 의해 중국에는 수많은 고분들과 궁궐이 들어섰는데 이 당시의 건축되 궁궐 중 베이징에 건설된 황궁은 현재까지도 가장 유명한 궁궐로 꼽힌다.

 

하지만 안타깝게도 명나라의 후기로 접어들면서 연극은 부유층의 많은 후원들을 받으면서 점차 일반적인 대중들과의 유대가 사라지고 그들로부터 외면받기 시작하며 점차 대중적인 연극은 자취를 감추게 되었다.

 

16세기 중반에 들어서면서 과거 몽골인들이 중국을 침략했던 것 처럼 이번에는 만주인들에 의해 중국이 침략받기 시작한다. 이러서 17세기가 되자 그들이 결국 중국을 집어 삼키고 만다.

 

17세기 중반부터 중국을 본격적으로 점령한 만주인들에 의해 중국의 역사는 흘러갔고 20세기 초반까지 그 영향력을 유지했다. 약 200여년에 이르는 시간이다.

 

당시 만주인들이었던 지도계층은 연극을 포함한 중국의 다양한 문화들을 즐겼다. 원나라로부터 명나라까지 이어온 기나긴 중국의 예술적 발전을 온전히 즐긴 것이라고 할 수 있다.

 

또 상류층은 여전히 그들의 전유물인 사치스러운 문학들에 대한 후원을 이어갔다. 하지만 당시 그들이 즐겼던 문학들 외에 일반 대중들을 위한 연극들은 자주 억압을 받았고 정치적이거나 도덕적인 이유를 거들어대며 극작품들의 대본들이 빼앗기거나 훼손되기도 하였다.

 

마무리

이렇게 중국의 연극들에 대해 간략히 알아보았다. 당시 고위층이나 중국의 관료주의적 문화로 인해 연극은 종종 억압을 받거나 예술로서의 입지가 다소 어려운 처지에 처하기도 했다. 

 

다음 시간에는 일본의 연극에 대해 알아보도록 하겠다. 빠잉.

 

[연극사 시리즈 1]연극이라는 것의 기원은 무엇일까?

 

[연극사 시리즈 1]연극이라는 것의 기원은 무엇일까?

처음 블로그를 시작하며 어떠한 주제로 이야기를 풀어갈까 싶었다. 남들보다 아는 것이 많은 것도 아니고 전문기술이 있는 것도 아니고 글쓰기 재주가 있는 것도 아니라서 수 많은 고민 끝에.

titan202103-1.tistory.com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