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시아의 연극
지난 시간까지 유럽의 중세 연극에 대해 알아봤다. 이번 시간부터는 아시아의 연극에 대해 알아보겠다.
[연극사 시리즈 20] 중세의 세속극과 종교극의 쇠퇴
중세의 세속극 중세 시대 말기에 시작된 르네상스의 탄생 배경에는 당시의 현실적 학문과 종교적 학문 간의 경쟁이 있었다. 중세의 연극에서도 이러한 경쟁적인 양상이 발견되는데 이후에 이
titan202103-1.tistory.com
서기 300년대부터 1300년대까지의 무려 약 1000년의 시간 동안 유럽지역에는 이렇다 할 연극의 틀이 존재하지 못했다. 그러나 이 시기에 아시아 지역에서는 현재까지 이어져 내려오는 연극의 전통들이 시작되고 있었다.
아시아인들은 당시 그리스나 로마의 연극에 대해 알지 못했다. 아시아의 연극은 아시아의 연극대로 유럽의 그것들과는 다른 면이 있었으며 또한 아시아의 연극들끼리도 독특한 개성을 가지며 서로 다른 부분을 가지고 있었다.
유럽의 연극과 다른 아시아 연극의 가장 큰 특징들은 먼저 유럽에 연극에 비해 훨씬 더 많은 부분들을 춤에 할애하고 있다는 점이다. 아시아의 연극을 무용극으로도 볼 수 있을 정도로 많은 부분에서 춤이 등장한다.
또한 인도, 중국, 일본 등 아시아의 전통들 모두가 종합적인 연극으로서 이어져 왔듯이 각각의 양식이나 다양한 양식으로서의 발전이 지속되어왔다.
아시아의 연극은 유럽의 연극들보다 연기, 춤, 음악, 대사 등의 부분들에서 유럽의 전통 연극들보다 완성도 높게 조화를 이루었고 이러한 요소들은 과거 오페라에 익숙했던 서양인들에게도 비교적 수월하게 그 형식이 받아들여질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위와 같은 종합적인 연극이 발전하는데에는 아시아의 연극 발전의 근원이 종교인 부분에서 시작되었으며 그러한 관점이 유럽과 달리 현재까지 이어져 옥 있다는 점이었다. 위에서 언급한 세 나라의 종교와 철학이 각각의 시대와 문화의 철학의 조화로 그들만의 독특하고 수준 높은 예술적 작품들로 거듭나게 하였다.
이렇게 우수한 전통 연극의 양식이 현재까지 이어진다는 것은 예전과 사회적인 가치가 달라지고 삶의 양식이 달라져도 전통극의 뿌리 자체가 여전히 종교와 철학으로 연결이 되어 있기 때문인 것으로 보인다.
아시아의 연극적 사례들이 현재까지 자료로 보존되어 있는 것들은 대다수 제작의 양식보다는 대사들 위주였다. 특히 인도와 중국의 초기 연극에 대해서는 거의 알려진 바가 없으나 일본은 비교적 많은 고대의 연기, 춤, 노래의 기법들을 잘 유지한 것으로 보인다.
인도 연극
인도의 초기 흔적은 기원전 3000년 경으로 거슬러 올라간다. 이로부터 약 1000년 후 남인도로 유입된 아리아인들에 의해 인도의 당시 문학적 전통의 기초를 다지게 된 산스크리트어로 당시를 기록했다.
많은 학자들은 기우너전 1000년 무렵까지 인도의 근본적인 체제는 어느 정도 확립된 것으로 보는데 이 중 하나가 바로 인도의 신분제도인 카스트 제도다.
카스트제도는 모든 사람들을 신분적으로 분류하는데 이 신분은 대를 이어 세습되며 해당 계급으로서 허용되지 않은 직업 또한 가질 수 없었다.
기원전 400년 무렵 동아시아와 중앙아시아에 보편적으로 퍼졌던 불교는 이 당시 아시아의 사상 확립에 큰 영향을 줄 정도로 큰 발전을 이루었다.
불교에서 인생이 늘 고통이 함께하게 될 것이지만 정신적인 수양과 도덕적인 자기 정화들을 통해서 이 고통들로부터 자유를 얻게 될 수 있다고 전한다.
기원전 240년 아소카 왕은 불교적 율법을 통해 나라를 통합하고자 하였으나 실패하였고 이후 서기 320년 경 구피 왕조가 나라를 통합할 때까지 아주 긴 시간 동안 인도는 무질서와 혼란 속에 빠졌다.
인도의 힌두 문화가 자리잡기 시작한 것 또한 이 무렵이며 이 시기에 수많은 산스크리트 연극들이 만들어졌다. 힌두교에서는 영혼이나 정신이 신체보다 인생의 본질이라는 믿음을 가지고 모든 인간의 목표는 브라만이라 일컬어지는 최고의 정신적 경지에 이르는 것에 있다 전하지만 인생의 모든 것이 브라만과 같이 영원하며 무한할 수는 없다고 강조한다.
마무리
오늘은 아시아 연극의 대략적인 특징과 인도 연극의 간략한 시대적 배경에 대해 이야기 했다. 다음 시간에도 이어서 인도의 연극에 대해 이야기하겠다. 빠잉.
'문화'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극사 시리즈 23] 후기 인도의 연극과 중국 연극 (0) | 2021.04.01 |
---|---|
[연극사 시리즈 22] 인도 연극 (0) | 2021.03.31 |
[연극사 시리즈 20] 중세의 세속극과 종교극의 쇠퇴 (0) | 2021.03.29 |
[연극사 시리즈 19] 기적극과 도덕극 (0) | 2021.03.28 |
[연극사 시리즈 18] 중세 순환극의 무대 (0) | 2021.03.27 |
댓글